본문 바로가기
IT 뉴스

Intel Core i7-3820 쿼드코어 SNB-E

by 피시미워요 2012. 12. 17.

개인적으로는 기대했던 만큼의 성능입니다.

 

하이엔드를 사용하고 싶으나 주머니는 가벼운 분들에게는 최고의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새로 나올 아이비와도 확실히 급을 달리 하는 플랫폼 이기에 성능이 있어서는 크게 불만을 받을 만하지도 않아 보이는 군요.

 

보드 가격이 눈물 나올 정도로 자비가 없지만 시피유 가격은 퍼포먼스 탑 라인의 i7에 비해서 많은 이점이 있기에 충분히 시장에 어필 할 수 있겠는데요.

 

우연치 않게 지금 3960X를 이미 사용하고 있지만 사비를 탈탈 털어 시스템을 하나 더 만들 필요가 있다면 3820을 선택하겠습니다.

 

코어 i7-3820은 최초(이자 유일한) 쿼드-코어 Sandy Bridge-E(SNB-E) CPU입니다. 기존 3960X나 3930K와는 다르게 3820은 완전히 새로운 다이(Die)이며, 그렇기 때문에 출시 역시 3900 시리즈보다 늦었습니다.

 

CPU 스펙 비교
CPU

생산 공정

코어 트랜지스터 수 다이 크기
AMD Bulldozer 8C 32nm 8 1.2B 315mm2
AMD Thuban 6C 45nm 6 904M 346mm2
AMD Deneb 4C 45nm 4 758M 258mm2
Intel Gulftown 6C 32nm 6 1.17B 240mm2
Intel Sandy Bridge E (6C) 32nm 6 2.27B 435mm2
Intel Sandy Bridge E (4C) 32nm 4 1.27B 294mm2
Intel Nehalem/Bloomfield 4C 45nm 4 731M 263mm2
Intel Sandy Bridge 4C 32nm 4 995M 216mm2
Intel Lynnfield 4C 45nm 4 774M 296mm2
Intel Clarkdale 2C 32nm 2 384M 81mm2
Intel Sandy Bridge 2C (GT1) 32nm 2 504M 131mm2
Intel Sandy Bridge 2C (GT2) 32nm 2 624M 149mm2

 

이 칩은 4개의 샌디 브릿지 코어와 짝을 이루는 10MB의 L3 캐시가 특징인데요, 현재 우리가 구매할 수 있는 LGA1155 샌디 브릿지의 최상위 제품보다 약간의 이득을 지닙니다. 결과적으로 다이는 일반 SNB보다 커지게 되었지만, 헥사(6)코어 SNB-E과 비교하면 상당히 작아졌지요

 

프로세서 코어 클럭 코어 / 스레드 L3 캐시 최대 터보 최대 배수 TDP 가격
Intel Core i7 3960X 3.3GHz 6 / 12 15MB 3.9GHz 57x 130W $990
Intel Core i7 3930K 3.2GHz 6 / 12 12MB 3.8GHz 57x 130W $555
Intel Core i7 3820 3.6GHz 4 / 8 10MB 3.9GHz 43x 130W $285
Intel Core i7 2700K 3.5GHz 4 / 8 8MB 3.9GHz 57x 95W $332
Intel Core i7 2600K 3.4GHz 4 / 8 8MB 3.8GHz 57x 95W $317
Intel Core i7 2600 3.4GHz 4 / 8 8MB 3.8GHz 42x 95W $294
Intel Core i5 2500K 3.3GHz 4 / 4 6MB 3.7GHz 57x 95W $216
Intel Core i5 2500 3.3GHz 4 / 4 6MB 3.7GHz 41x 95W $205

 

기본 클럭은 최상위 SNB 대비 약간 향상(3.6GHz vs. 3.5GHz)되었지만, 최대 터보 클럭은 3.9GHz로 동일합니다. 따라서 싱글 스레드 성능은 Core i7-2700K, 3960X만큼 빠르며, 멀티 스레드에서도 다른 쿼드코어 제품보다 빠릅니다. (다만 3900 시리즈는 2개의 추가 코어가 있기 때문에 여전히 이점을 지닙니다.)

 

이 CPU는 다이에 GPU가 내장 되지 않으며, 박스에 힛싱크도, 팬도 없고 또한 완전히 언락도 되지 않았지만 $285로 하이엔드 샌디 브릿지 CPU 중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

 

만약 $200이상 고가의 보드를 구매하는데 부담이 없다면 3820은 거저나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모든 샌디 브릿지 CPU는 기본적으로 클럭이 잠겨(Locked)있습니다. 하지만 터보 부스트를 지원하는 제품은 부분적으로 언락이 가능하며, K 혹은 X 시리즈 SKU는 완전히 언락되어 5.7GHz까지 멀티플라이어(배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3960X와 3930K가 후자에 속해다면 3820은 전자에 속하는데, 이것은 멀티플라이어 조절로는 최대 4.3GHz까지 오버클럭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4.3GHz는 1코어 활성화 상태일 때로 최악의 상태(4코어 활성화)에서는 4.0GHz가 최대 동작 클럭입니다.)

 

SNB는 기본적으로 100MHz의 BCLK(베이스 클럭)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SNB-E는 125MHz, 166MHz, 250MHz를 옵션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 중 166MHz/250MHz 세팅은 너무 어그레시브하지만, 125MHz 세팅은 3820을 위한 가장 완벽한 세팅이 될 수 있습니다.

 

인텔의 DX79SI 보드에서 최신 BIOS를 사용하면 오버클럭은 정말 쉽습니다. 내장된 오버클러킹 프러파일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일반적인 오버클럭에 무리가 없습니다. 여기에서는 단순히 1.25x (125MHz) 프러파일을 선택했습니다. 또한 보다 높은 클럭과 안정성을 위해 약간의 트윅을 해보았고, (4.63GHz가 보드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가장 빠른 프러파일입니다.) 결국 인텔의 수랭 쿨링 솔루션인 RTS2011LC와 함께 4.75GHz로 만족스러운 세팅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 3820 샘플로는 4.88GHz나 5GHz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었으나, $285의 가격을 생각할 때 4.75GHz의 클럭으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정말 불평할 수 없습니다. 또한 SNB-E의 BCLK 옵션 덕분에 오버클러킹은 힘들게 수고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비록 3820이 언락된 제품은 아니지만, 언락된다고 해도 얼마나 더 높은 클럭에서 사용이 가능할까요?

 

게이밍 성능면에서 3820은 2600K와 비슷한 모습을 보입니다.

 

아이들 시의 전력 소모는 LGA1155 플랫폼보다 약간 높은 수준입니다. 플랫폼의 상이점을 생각하면 무시할만한 수준이며, 로드 시의 전력 소모 역시 2600K보다 약간 높은 수준입니다. 그러나 3960X과 비교하면 크게 낮습니다.

 

Core i7-3820을 사용할 이유을 말한다면 다음 3가지를 다음과 같이 생각해봅니다.

 

-PCIe 3.0을 원하거나 2600K가 제공하는 것 이상의 PCIe 레인이 필요로 할 때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높은 메모리 대역폭이 필요할 때

-2600K를 원하지만 보다 많은 메모리 지원을 원할 때 (32GB+)

 

만약 저 3가지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큰 전력 소모 없이 최상급의 LGA1155 제품과 같은 성능을 보여주는 3820은 상당히 괜찮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상당히 멋진 제품이네요.

 

메모리 채널이 보통 2채널인데 이 제품은 4채널이라는 것과

4채널인데 반해 가격이 상당히 낮다는 점이

나름 분명한 매력을 갖고 있는 제품인것 같네요..

저렴한 가격에 4채널로 메모리를 써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최고의 선택일 듯 하네요^^